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겨울이 왔습니다.

    폭염으로 힘들어서 외출 자제하라는 소리가 엊그제 같았는데, 이제는 한파대비를 해야 하는 시기가 왔습니다.

     

    경기도청에서 준비하는 한파대비로 어떤게 있는지 알아볼까요?

    한파취약계층 시설을 위한 난방비 지원이나 방풍시설이나 한파 피해 발생 시 연락할 기관연락처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한파대비 농수산물 관리 및 저체온증과 동상, 안전수칙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한겨울에도 안전하고 따뜻하게!

    겨울철 종합대책

     

     

     

    한파 쉼터 지정ㆍ운영

    2023년 11월 15일 ~ 2024년 3월 15일까지 인명피해 예방을 위한 쉼터를 운영합니다.

     

    기관 운영현황 기관 운영현황
    노인시설 7,136 / 7,100 복지회관 42 / 42
    마을회관 72 / 72 보건소 2 / 1
    주민센터 209 / 209 읍면동 사무소 79 / 79
    종교시설 1 / 1 금융기관 112 / 110
    기타 112 / 110    
    7,772 / 7,732

     

    ※ 주말, 야간 한파 쉼터 개방 확대를 지속 추진할 예정입니다.

     

     

     

    한파저감시설 설치

    온열의자, 방풍시설 등 총 4,239개의 한파저감시설을 운영하겠습니다.

    주 1회 이상 시군 연계하여 저감시설 점검 등 관리를 철저히 하겠습니다.

     

     

     

     

    건강취약계층 집중케어 및 한파취약계층(시설) 난방비 지원

    건강취약계층에 대해 방문건강관리사업을 통해 건강상태를 점검하고, 한파 취약계층 및 취약계층 이용시설에 대해 난방비를 지원하겠습니다.

     

     

     

    노숙인 한파대비 보호체계 구축 및 응급환자 구급체계 강화 등

    노숙인 보호를 위한 현장활동을 강화하겠습니다.

    지역 내 한랭질환자 치료 가능병원 및 병상 현황을 공유하는 등 응급환자 구급체계 강화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에너지(가스ㆍ전력) 공급 피해 발생 시 신속 복구

    한파 대비 에너지 기능 복구반 비상근무 체계를 구축해 운영하겠습니다

    가스 및 정전사고 발생 시 유관기관(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전력공사, 전기안전공사 등)에 신속히 상황을 전파하고 대응하겠습니다.

     

     

    비상연락처

    가스안전공사 종합상활실 : 043-750-1300,   1544-4500

     

    가스안전공사 경기광역본부 : 031-259-3500

    - 북부지사 : 031-878-0019

    - 서부지사 : 032-345-0019

    - 동부지사 : 031-795-0019

    - 중부지사 : 031-927-2700

     

    전력거래소 비상재난안전팀 : 061-330-8810, 061-330-8840

     

    한국전력공사 종합상황실 : 061-345-8622,  031-345-8624

    경기지역본부 : 031-230-8380

     

    기상콜센터 (국번없이) 131

     

     

     

     

    한파에 대비해 농수산물은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 동해 방지를 위해 과수 밑둥 싸매주기를 실시합니다.

    - 지열난방시설, 보온커튼, 수막재배, 축열주머니 등 보온시설을 설치합니다

    - 해면ㆍ내수면 증ㆍ양식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미리 보강해둡니다.

    - 어장별 담당 공무원 지도활동에 따르고, 양식장별 보온 시설 및 장비 등 점검을 실시해 온전하지 않은 시설은 보강합니다.

     

     

     

    저체온증이란?

    체온이 35℃이하로 떨어진 상태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증상

    • 말이 어눌해지거나 기억장애 발생
    • 점점 의식이 흐려짐
    • 지속적인 피로감을 느낌
    • 팔, 다리의 심한 떨림 증상

     

    응급조치

    • 신속히 병원으로 가거나 빠르게 119로 신고합니다
    • 젖은 옷은 벗기고 담요나 침낭으로 감싸줍니다
    • 겨드랑이, 배 위에 핫팩이나 더운 물통 등을 두며, 사람이 껴안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 의식이 있는 경우에는 따뜻한 음료가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의식이 없는 경우 주의합니다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우선입니다.

     

     

     

     

    동상이란?

    심한 추위에 노출된 후 피부조직이 얼어 부분적으로 혈액공급이 없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증상

    • 1도 - 찌르는 듯한 통증, 붉어지고 가려움, 부종
    • 2도 - 피부가 검붉어지고, 물집이 생김
    • 3도 - 피부와 피하조식 괴사, 감각소실
    • 4도 - 근육 및 뼈까지 괴사

     

    응급조치

    • 환자를 따뜻한 환경으로 옮깁니다
    • 동상부위를 20~40분간 따뜻한 물(38℃ ~ 42℃*)에 담급니다

    * 38~42 : 동상을 입지 않은 부위를 담갔을 때 불편하지 않을 정도의 온도

    • 얼굴, 귀에 따뜻한 물수건을 대주고 자주 갈아주며, 손가락, 발가락 사이엔 소독된 마른 거즈를 끼웁니다
    • 부종 및 통증을 줄이기 위해 동상부위를 약간 높게 합니다
    • 다리, 발 동상 환자*는 들것으로 운반합니다

    * 다리에 동상이 걸리면 녹고 난 후에도 걸어서는 안됩니다.

     

     

     

     

    한파 도민행동요령

    • 노약자, 영유아 등을 위해 난방과 온도관리에 유의합니다
    • 외출 시에는 동상에 걸리지 않도록 보온에 유의합니다.
    • 동상에 걸리면, 따뜻한 물에 30분가량 담그고 온도를 유지하며 즉시 병원으로 갑니다.
    • 수도계량기, 보일러 배관 등은 헌 옷 등으로 보온합니다.
    • 장기간 외출 시 온수를 약하게 틀어 동파를 방지합니다.
    • 양식장에 월동장을 설치하고, 방풍망을 준비합니다.

     

     

     

    대설 대비 안전수칙

     

    가정에서는

    - 눈이 많이 올 때는 가급적 외출을 자제하세요.

    - 내 집 앞, 내 가게 앞 보행로와 지붕, 옥상에 내린 눈을 수시로 치워주세요.

    - 노후가옥은 쌓인 눈의 무게로 인해 무너지지 않도록 사전에 안전점검을 실시하세요

    - 외출 시에는 바닥면이 넓은 운동화나 등산화를 착용하세요.

    - 길을 걸을 때는 낙상사고에 위험이 있으니 주머니에 손을 넣지 마세요.

     

     

    자동차로 이동한다면

    - 차량용 안전장구(스노체인, 염화칼슘, 삽 등)를 준비하세요.

    - 커브길, 교량, 고가도록, 결빙구간 등은 특히 사고 위험이 높으니 서행하고,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고 운행하세요.

    - 차량 이동 중 고립됐을 때는 구조 연락을 취하고, 동승자와 함께 체온을 유지하며 교대로 휴식을 취하세요

      (※ 한 사람은 반드시 깨어있어야 하며, 야간에는 구조요원이 찾기 쉽도록 실내등을 켜거나 옷을 눈 위에 펼쳐 놓는 것이 좋습니다)

    - 차량이 고립ㆍ정체된 경우 되도록 차량에서 대기하고, 부득이 차량을 벗어날 경우에는 연락처를 남기고, 열쇠를 꽂아 둔 채로 대피하세요

     

     

    농어촌, 공장 등에서

    - 비닐하우스, 가설 건축물 등을 미리 점검하세요

     (※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곳은 비닐을 걷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 지붕의 눈은 쌓이기 전에 수시로 치우거나 받침대 등으로 미리 보강해 피해를 예방하세요.

    - 수산 증ㆍ양식장은 어류 등이 동사하지 않도록 보온조치를 해주세요.

    - 공장, 시장 비가림 시설, 주거용 비닐하우스, 창고 등 가설 패널을 이용한 구조물은 쌓인 눈의 무게에 취약하므로 미리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세요.

     

     

    반응형